분류 전체보기(62)
-
fio 이용하여 디스크 성능 측정하기
오늘 fio 라는 명령어를 처음 사용해 봤다. fio(Flexible IO Tester)는 디스크에 I/O 부하를 줘서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이다. disk 성능 테스트의 목적은 물리 디바이스가 잘 동작하는지 1차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application을 올린 다음에 다시 테스트 하여 본래의 성능 보다 너무 낮으면 application 설정의 튜닝을 고려하는 지표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fio를 사용하면 random read/write 방식으로 disk에 부하를 줄 수 있다. ramdom read/write disk read/write 방식에는 순차(sequential)/랜덤(random) 방식이 있다. random read/write가 일어나는 상황은 다음과 같이 가정할 수 있다..
2022.05.23 -
[ ceph ] Rados Block Device (RBD) 설치하기
ceph을 openstack의 cinder와 같은 block stroage 서비스의 백엔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RBD를 구성해야 한다. RBD(Rados Block Device)는 Ceph Block Device라고도 알러져 있다. https://docs.ceph.com/en/latest/rbd/rbd-openstack/ 작업하기에 앞서 이전에 구성한 ceph 클러스터의 상태가 HEALTH__OK인 것을 확인하고 시작한다. https://greencloud33.tistory.com/45 작업 후로 pool 및 disk 상태는 다음과 같다. root@deploy:/home/ceph-cluster# ceph osd lspools 1 device_health_metrics 2 .rgw.root 3 defaul..
2022.05.21 -
Linux 시스템 복구 방법 (Rescue, Single-user, Emergency mode)
root 패스워드를 분실 하여 시스템에 접속할 방법이 없거나, /etc/fstab 을 잘못 설정하여 파일 시스템 오류로 정상 부팅 되지 않는 겨우가 있다. 이럴 때는 각 상황에 맞는 방법으로 시스템 복구를 수행하는데, rescue mode, single-user mode, emergency mode 등의 차이를 잘 몰라 한번 알아보고자 한다. 1. Rescue Mode Rescue Mode는 리눅스 설치 CD나 USB를 이용해서 복구하는 방법이다. 설치 모드에서 linux rescue 명령어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고 한다. /etc/fstab의 파일 시스템의 설정 등이 잘못 되어 부팅이 안되는 경우 Rescue mode에서 해당 설정 파일을 수정하고 다시 부팅할 수 있다. 2. Single User ..
2022.05.15 -
stratis 방식으로 파일 시스템 구현해 보기
최근에 stratis 라는 스토리지 구성 방식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stratis는 현 시점(2022.05)에서 Tech preview 단계에 있는 feature로, 아직 안정화 되지는 않았다고 한다. 아직 실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은 위험성이 있는 기능이지만 장단점을 정리하고 한번 실습해 보고자 한다. Stratis File System? Stratis는 새로운 로컬 스토리지 관리 솔루션으로, pool 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스토리지를 구성한다. 기존에 알던 xfs, ext4 같은 경우는 물리 디스크 디바이스를 바로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했었다. 하지만 Stratis는 pool 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하는 파일 시스템을 pool에서 thin provisoning한다. 즉, 파일 시스..
2022.05.11 -
NetworkManager - nmcli 명령어로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하기
nmcli 명령어는 NetworkManager 를 cli 로 제어하고, 현재 네트워크 디바이스(인터페이스) 및 커넥션의 상태를 알려주는 명령어이다. NetworkManager는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터리 하위의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을 참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몬이다. nmcli con mon 명령어로 수정하는 내용은 해당 디렉터리 하위의 ifcfg-(interface_name) 파일에 반영이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확인 하기 nmcli 명령어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같이 확인 할 수 있다. [root@server-a ~]# nmcli dev status DEVICE TYPE STATE CONNECTION eth0 ethernet connected..
2022.04.27 -
Swap Memory 개념 및 swap partition, file 생성 방법
SWAP Memory? Swap 공간은 RAM이 모두 찼을 때 RAM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page들을 옮겨 두는 disk 공간이다. Hard Drive (디스크)에 위치하기 때문에 RAM 보다 느리다. Swap 공간은 Swap 파티션(권장), Swap 파일, Swap 파티션 + Swap 파일의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요즘은 RAM의 공급과 사양이 예전에 비해 나아 지면서 굳이 swap을 사용하지 않는 분위기인 것으로 알고 있다. Swap Partition과 Swap File의 차이점? A swap partition is just what its name implies—a standard disk partition that is designated as swap space by the mksw..
2022.03.01 -
[ ceph-deploy ] 02. ceph cluster 배포하기
이전 게시글에서 ceph 배포를 위한 패키지 및 네트워크 설정을 완료하였다. https://greencloud33.tistory.com/44?category=950924 이제 ceph cluster를 생성하여 배포를 진행한다. 물론 지난 작업을 통해서 deploy 서버에서 각각의 ceph 서버로 ssh 접속이 되는 상황이어야 한다. ceph 배포할 directory 생성 deploy 노드에 ceph cluster 배포에 필요한 파일들을 관리할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각종 keyring과 conf 파일들이 이에 속한다. deploy 서버에서 배포를 할 때 이 디렉터리에서 작업을 하면 된다. root@deploy:~# mkdir /home/ceph-cluster 클러스터 생성하기 deploy 서버에서 ceph..
2022.02.27 -
파일 시스템 생성 및 자동 마운트 설정하기
오늘은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과 부팅시에도 자동 마운트가 되도록 fstab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이전에도 이런 과정을 경험한적은 있지만, 제대로 다시 정리해보자! 먼저 이런 의문이 들 수 있다. 파일시스템이란 무엇일까?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은 운영체제가 파티션이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읽기/찾기를 하기 위해 구성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리눅스를 다루다 보면 데이터가 파일 단위로 저장되고, 파일은 디렉터리에 속하게 된다. 이러한 파일들과 계층 구조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파일 시스템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파일 시스템은 파일 생성/수정/삭제 기능, 파일 접근 제어, 파일 백업/복구 기능, 정보의 암호화/복호화 등을 수행한다. 따라서 새롭게 하드 디스크를 추가한 하..
2022.02.27 -
[ ceph-deploy ] 01. 사전작업
ceph의 기본 동작 원리를 직접 파악해 보기 위해 ceph-deploy로 배포를 해보고자 한다. 설치 버전 : nautilus 공식 가이드 : https://docs.ceph.com/en/nautilus/start/ ceph 사용 용도 openstack cinder, glance의 backend storage로 사용 -> RBD 설치 Object Storage 서비스 구축 -> RADOSGW 설치 구축 환경 OS : Ubuntu 20.04 deploy 서버 1대 ceph osd 노드 3대 -> ceph 에는 osd disk 각 100GB (vdb, vdc, vdd) Host Name Service Network Internal Network External Network Tenant Network St..
2022.02.26